자료 공유

티처스2 방영 대한수학회 수학공식 포스터 총정리|수포자도 이해하는 활용법

해달 빛 2025. 8. 12. 11:10
반응형

 

 

📑 목차

  1. 티처스2 속 대한수학회 × 네이버과학 수학공식 포스터 소개
  2. 수학 공식 포스터 구성과 특징
    1. 포스터 사이즈와 버전
    2. 193개 수학 공식의 구성
  3. 수학공식 학습 4단계 전략
    1. 1단계: 공식 작성
    2. 2단계: 공식 증명
    3. 3단계: 활용도 파악
    4. 4단계: 예제풀이
  4. 수포자도 따라할 수 있는 수학 공식 공부 팁
  5. 수학 공식 포스터 & 노트 다운로드 정보
  6. 마무리 및 학습 조언

티처스2 속 대한수학회 × 네이버과학 수학공식 포스터 소개
티처스2 속 대한수학회 × 네이버과학 수학공식 포스터 소개

티처스2 속 대한수학회 × 네이버과학 수학공식 포스터 소개

2025년 8월 3일 방영된 티처스2 13회에서는 전국 수험생과 수학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에게 놀라운 선물이 공개되었습니다. 바로 대한수학회네이버과학이 힘을 합쳐 만든 수학 공식 포스터입니다.

이 포스터는 수능 수학 전 범위에서 자주 등장하는 193개의 필수 공식을 한 장에 보기 좋게 정리했습니다. 대수, 기하, 확률과 통계, 미적분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각 공식의 핵심 포인트와 쓰임새까지 고려해 구성된 것이 특징입니다.

단순 암기가 아니라 ‘이 공식은 언제, 왜 쓰이는가’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도록 설계되어, 수포자에게도 이해하기 쉬운 학습 자료입니다.

수학 공식 포스터 구성과 특징

포스터 사이즈와 버전

포스터는 학습자의 환경과 상황에 맞게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됩니다.

  • 대형 버전 (705×940mm) – 교실 벽, 책상 앞, 공부방에 붙이기 좋음
  • A4 9분할 버전 – 휴대성과 복습에 최적화, 학교·도서관에서도 사용 가능

많은 학생들이 이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합니다. 방에는 대형 포스터를 붙여 두고, 외부 공부 시에는 A4 버전을 들고 다니며 틈틈이 복습하는 방식입니다.

193개 수학 공식의 구성

이 포스터는 단순 나열형이 아닌, 과목별·단원별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대수 단원에서는 항등식, 이차방정식, 함수 공식이, 기하에서는 도형의 성질과 벡터 공식이, 미적분에서는 미분·적분 기본 공식과 활용 공식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확률과 통계 파트에서는 순열·조합·확률 공식이 체계적으로 나열됩니다.

각 공식 옆에는 간단히 활용 팁을 적어둘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시험 직전 ‘내가 약한 부분’을 체크하는 데 유용합니다.

수학공식 학습 4단계 전략

1단계: 공식 작성

공식은 읽는 것보다 쓰면서 외우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손으로 쓰는 과정에서 뇌의 장기기억 영역이 활성화되고, 구조적 이해가 가능합니다.

2단계: 공식 증명

공식의 유도 과정을 아는 것은 단순 암기보다 훨씬 강력합니다. 예를 들어, 등비수열의 합 공식 Sn = a(1-r^n)/(1-r)은 식 변형 과정을 이해하면, 시험장에서 변형 문제가 나와도 당황하지 않게 됩니다.

3단계: 활용도 파악

각 공식은 특정 유형 문제에서만 등장합니다. 따라서, 포스터 옆에 ‘활용 예시’를 적어두면 시험장에서 빠르게 문제 유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4단계: 예제풀이

실전 문제를 풀어보며 공식이 ‘몸에 배도록’ 연습합니다. 특히, 하루에 3~5문제를 꾸준히 푸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수포자도 따라할 수 있는 수학 공식 공부 팁

  1. 공식을 문장처럼 읽기 – 이해가 먼저, 암기는 그 다음
  2. 욕심 부리지 않기 – 하루 5개 공식만 확실히
  3. 활용 예시 메모 – 기억이 오래감
  4. 무의식 노출 – 눈에 띄는 곳에 포스터 붙이기

수학 공식 포스터 & 노트 다운로드 정보

마무리 및 학습 조언

수학은 포기하는 순간부터 멀어집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자료와 방법을 만나면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번 티처스2 방영 대한수학회 × 네이버과학 수학공식 포스터는 그런 의미에서 ‘재도전’의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공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며, 반복하는 것. 이 세 가지만 지킨다면, 누구나 수학 자신감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